서울시 신혼부부 결혼·살림비용 지원사업 (2025) 총정리
결혼은 인생에서 가장 큰 기쁨 중 하나지만, 준비 과정에서 만만치 않은 비용 부담이 따릅니다. 예식장 대관부터 신혼여행, 가전·가구 마련까지… 신혼부부라면 누구나 고민할 수밖에 없는 현실적인 문제이죠.
서울시는 이런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결혼 및 살림비용을 최대 100만원까지 지원하는 제도를 운영합니다.
이번 지원사업은 단순한 축하 차원이 아니라, 생활에 꼭 필요한 혼수·가전·가구·주방용품 등에 직접 활용할 수 있는 실질적인 지원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큽니다.
서울에 거주하는 신혼부부라면 반드시 챙겨야 할 혜택이니, 지금부터 자세히 확인해 보세요.
📌 지원 내용
- 지원금액 : 결혼·살림비용 최대 100만원 (생애 1회 지원)
- 사용 가능 분야
- 결혼준비 : 혼수, 예식장, 신혼여행, 청첩장 등
- 혼인살림 : 전자제품, 주방가전, 생활용품, 가구, 침구류 등
👉 단, 스튜디오·드레스·메이크업 비용이나 서울시 공공예식장 ‘더 아름다운 예식장’ 비용은 지원 제외.
🛒 지원 항목 예시
① 예식장, 신혼여행, 청첩장
② 가전제품 : 냉장고, 세탁기, 건조기, TV, 청소기, 인덕션, 정수기 등
③ 주방·생활용품 : 냄비, 프라이팬, 식기세트, 믹서기, 커피머신, 토스터기, 다리미, 빨래건조대 등
④ 가구류 : 침대, 소파, 식탁, 의자, 책상, 옷장, 신발장, 커튼, 블라인드 등
👩❤️👨 지원 요건
- 거주요건 : 2025.7.14. 이후 혼인신고한 부부 중 1인 이상 서울 거주
- 신청일 전후 포함 180일 이상 계속 거주해야 함
- 지급결정일(2025.11.17.~11.18.)까지 서울 거주 필요
- 소득요건 : 기준 중위소득 120% 이하
- 2인 가구 4,719,190원, 3인 가구 6,030,424원, 4인 가구 7,317,328원(2025년 기준)
- 국적요건 : 부부 중 1인 이상 대한민국 국민
- 대한민국 국민과 혼인신고한 외국인도 지원 가능
- 지원 제외 대상
- 사실혼 부부
- 부부 모두 외국인
- 이미 동일 사업 지원을 받은 경우
- 서울시 공공예식장 ‘더 아름다운 결혼식’ 지원 수혜자
📅 신청 일정
- 신청기간 : 2025.10.13.(월) 09:00 ~ 10.24.(금) 23:59 (12일간)
- 자격검증 및 1차 승인 : ~ 2025.11.7.(금)까지
- 지급결정 : 2025.11.17.(월) ~ 11.18.(화)
- 지원금 지급시기 : 2025년 12월 중
📝 신청 방법
- 몽땅정보 만능키 누리집(umpa.seoul.go.kr) 접속 후 신청
- 행정정보 공동이용으로 자격 확인
- 주민등록등본, 소득금액증명원 등은 행정망 연계
- 혼인관계증명서, 배우자 동의서, 구매 영수증 등은 제출 필요
- 구매 영수증은 신청일 기준 1년 이내 발급분만 유효
- 최종 지급일은 신청자의 거주지 구청에서 개별 안내
📊 지원 규모 & 우선순위
- 지원 규모 : 총 1,000가구
- 예산 규모 : 1,000백만원 (1가구당 100만원)
- 신청자가 예산을 초과할 경우 지원 우선순위
① 소득수준이 낮은 가구
② 신청일이 빠른 가구
③ 혼인신고일이 빠른 가구
❓ 자주 묻는 질문
- Q. 구매 전에 지원금 받을 수 있나요?
→ 아니요. 반드시 **구매 후 영수증 제출(업로드)**해야 지원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. - Q. 신청 후 서울 외 지역으로 이사 가면?
→ 지급결정일까지 서울에 거주해야 지원 가능합니다. - Q. 신청 후 언제 받을 수 있나요?
→ 2025년 12월 중, 구청에서 개별 지급일을 안내합니다.
📞 문의
서울시 다산콜센터 ☎ 02-120
✅ 마무리
결혼은 두 사람이 함께 꾸려갈 새로운 출발점이지만, 준비 과정에서 드는 비용은 생각보다 무겁습니다.
서울시 신혼부부 결혼·살림비용 지원사업은 최대 100만원의 환급형 지원으로 신혼살림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제도입니다.
특히 가전·가구·생활용품 등 신혼 생활에 꼭 필요한 부분에 활용할 수 있어 부담을 크게 덜 수 있습니다.
또 신청자가 몰릴 경우에는 소득·신청일·혼인신고일까지 고려해 공정하게 배분되니, 요건이 맞는다면 서둘러 신청하는 것이 좋습니다.
👉 서울에 거주하는 신혼부부라면 이번 기회를 꼭 놓치지 말고 신청하시길 추천드립니다.
'정책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민생회복 소비쿠폰 2차 신청 방법·기간·사용처 총정리 (0) | 2025.09.21 |
---|---|
2025 어르신 스포츠상품권 신청방법·지원대상 총정리 (1) | 2025.09.15 |
2025년 대구시 대학생 학자금대출 부담경감 지원사업 신청 방법 총정리 (1) | 2025.09.14 |
대구로페이 13% 할인 판매 시작, 9월 1일부터 소진 시까지 총정리 (1) | 2025.08.31 |
제13회 대구출판인쇄 디자인공모전, 응모자격부터 시상까지 총정리 총상금 1,100만원 규모 (2) | 2025.08.3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