정책 정보

아이돌봄서비스 신청방법, 긴급돌봄서비스까지 완벽 정리

백모닝 2025. 8. 18. 08:30
반응형

👶 아이돌봄서비스 신청방법 및 지원내용 총정리

맞벌이 가정이나 긴급 상황으로 양육 공백이 생겼을 때, 아이돌봄서비스를 통해 돌봄 공백을 해소할 수 있습니다. 정부가 지원하는 서비스이기 때문에 부모의 양육 부담을 덜어주고, 아이들은 안전하게 보호받을 수 있죠. 오늘은 아이돌봄서비스 신청 방법, 이용대상, 비용 지원 기준까지 한눈에 정리해드리겠습니다.

🔗 아이돌봄서비스 공식 홈페이지 바로가기

 


📌 아이돌봄서비스란?

  • 부모의 맞벌이, 근로, 학업, 질병 등으로 돌봄 공백이 발생한 경우
  • 만 12세 이하 아동을 대상으로 아이돌보미가 직접 가정을 방문하여 돌봄을 제공합니다.
  • 정부지원 돌봄서비스로, 가정의 경제적 부담을 줄이는 효과가 있습니다.

👦 이용대상

  • 생후 3개월 이상 ~ 만 12세 이하 아동
  • 양육 공백이 발생한 가정이라면 누구나 신청 가능
  • 특별히 한부모가정, 장애부모가정, 장애아동가정은 지원 비율이 더 확대됩니다.

🛠 서비스 유형

  1. 정기서비스 : 일정 시간에 맞춰 정기적으로 방문
  2. 단기서비스 : 갑작스러운 일정으로 단기간 이용
  3. 영아종일제 서비스 : 3개월~36개월 미만 아동 전일 돌봄
  4. 질병감염 아동 지원 서비스 : 전염성 질병으로 유치원·학교에 갈 수 없는 아동
  5. 기관연계 서비스 : 유치원, 학교, 보육시설 연계 지원
  6. 긴급돌봄서비스
    • 갑자기 돌봄이 필요할 때 2시간 이내 연결
    • 2~4시간 단기 돌봄 제공
    • 추가 요금 : 건당 3,000원
    • 정부지원금은 가구 유형별·소득 기준에 따라 차등 적용

🏠 운영내용

  • 가정 내 돌봄
  • 식사 및 간식 챙겨주기
  • 등·하교 및 병원 동행
  • 놀이 및 생활지도

📝 신청방법

  • 주소지 읍·면·동 행정복지센터(주민센터) 방문 신청
  • 처리 절차 : 신청서 제출 → 접수 → 정부지원 결정 → 가족센터 연계 → 서비스 제공

💰 비용 및 정부지원 기준

  • 시간제 서비스 기준 기본형(12,180원/시간), 종합형(15,830원/시간)
  • 소득 수준(중위소득 비율)에 따라 정부지원 비율 달라짐
    • 가형(75% 이하) : 최대 85~90% 지원
    • 나형(120% 이하) : 약 40~60% 지원
    • 다형(150% 이하) : 약 20~30% 지원
    • 마형(200% 초과) : 전액 본인 부담

한부모가정, 장애부모가정, 장애아동가정, 청소년부모가정은 지원 비율 상향 적용


✅ 정리

아이돌봄서비스는 단순한 보육 대체가 아니라, 가정의 양육 부담을 줄이고 아이에게 안정적인 돌봄 환경을 제공하는 제도입니다.
특히 맞벌이 가정 지원과 더불어, 긴급 상황에서도 긴급돌봄서비스를 통해 즉시 도움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이 큰 장점입니다.

👉 자세한 안내 및 신청은 아이돌봄서비스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세요.

반응형